본문 바로가기

Talk/etc.

정치인들이여 공감하라 '칼레의 시민'

사용자 삽입 이미지





























Rodin, The Burgher of Calais

칼레의 시민... 노블레스 오블리제...

1347년 도버해협 양쪽의 영구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백년전쟁 때의 일입니다.. 1년 가까이 영국의 공격을 막던 프랑스의 북부도시 칼레는 원병을 기대할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백기를 들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칼레시의 항복사절은 도시 전체가 불타고 모든 칼레의 시민이 도살되는 운명을 면하기 위해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자비를 구하였습니다. 완강한 태도를 보이던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항복의 조건을 내 놓았습니다.

"좋다. 칼레시민들의 생명은 보장하겠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동안의 어리석은 반항에 대해 책임을 져야만 한다. 이 도시에서 가장 명망이 높던 대표적인 시민 대표를 골라 목에 교수형에 사용될 밧줄을 목에 걸고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로 영국군 진영으로 가서 도시의 열쇠를 건넨 후 목을 매 처형 받아야 한다."

시민들은 기뻐할 수도 슬퍼할 수도 없었습니다. 누군가 6명이 그들을 대신해 죽어야만 했기 때문입니다. 그때 용감하게 6명이 선뜻 나섰습니다. 모두 그 도시의 핵심인물이며 절정의 삶을 누리던 부유한 귀족이었습니다. 칼레에서 가장 부자인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가 가장 먼저 자원했습니다.

"자 칼레의 시민들이여.. 나오라.. 용기를 가지고..."

그러자 시장이 나섰습니다. 상인이 나섰습니다. 그의 아들도 나섰습니다. 드디어 일곱 명이 되었습니다. 한 사람은 빠져도 되었지요. 제비를 뽑자는 말도 있었지만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 생피에르는 "내일 아침 장터에 제일 늦게 나오는 사람을 빼자" 제의 했고 이에 모두 동의했습니다. 그들의 고통의 밤은 그렇게 깊어갔습니다.

이튿날 이른 아침 여섯 명이 모였습니다. 그러나 생피에르가 오지 앟았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그가 궁금했습니다. 모두 안 나와도 그는 나올 사람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 죽음을 자원한 사람들의 용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칼레의 며예를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다행이도 이들 6명이 처형되려던 마지막 순간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왕비의 간청을 듣고 그 용감한 시민 6명을 살려주었습니다. 그로부터 550년이 지난 1895년 칼레시는 이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기 위해 생피에르에 조각상을 제작하기로 하고 조각가 로댕에게 의뢰했습니다. 이 작품이 바로 <칼레의 시민> 입니다. 1895년 6월 3일 기념상이 제막되었습니다.

높은 신분에 따르는 윤리적 의무를 나타내는 '노블레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칼레의 영웅들은 이 말의 가치를 몸소 실천해 보였습니다...

로댕은 1884년 칼레시로부터 '칼레의 시민' 주문을 받게 됩니다. 작품을 완성해 칼레 시청 앞에 설치한 것이 1895년... 10년이 넘는 세월을, 작품 '칼레의 시민'에 바쳤습니다. 로댕은 10년의 세월을 바친 이 조각을 좌대 없이, 칼레의 시청 앞 땅바닥에 내려 놓습니다.

'칼레의 시민들이 고통으로 얼그러진 죽음의 그림자를 목에 두른 가장 위대한 6명의 영웅들과 함께 거리를 거닐 수 있도록...'

아마도 칼레의 시민들은 당연히 선조들의 영웅적인 모습을 기대했을 것 입니다. 하지만, 로댕은 죽음에 대한 공포에 사로잡힌, 그러나 운명에 준종하는 평범한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습니다. 로댕은 두려움과 맞서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바로 영웅이라는 것을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주고하 함이었습니다. 아마도, 칼레시의 시민들은 지금 이 시간에도 그 거리를 지나며 죽음을 향해 전진하던 평범하지만 위대한 그들을 생각하며 시청앞을 오가고 있지나 않을까 합니다.

i think....

장관들의 기름값으로 30억의 세금이 나간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그래서야 되냐고 지탄을 먼저합니다. 하지만, 4천만이 사는 이 나라를 지키는 장관들에게 그 이상을 해 주어도 아깝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내가 존경해야할 나라일을 하는 분들이 '칼레의 시민'과 같은 정신을 가진 분들인지는 묻고 싶습니다.

'Talk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모바일 웹, 모바일 혁명의 주도권은?  (0) 2010.06.22
국민의 소리를 들으라...  (0) 2008.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