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0102] 파워셋ㆍ하키아ㆍ스냅…제2의 구글신화 꿈꾼다
NYT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새로운 검색엔진들이 벤처캐피털들로부터 수천만 달러에 달하는 자금 지원을 받아 기능 향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연스런 영어문장을 입력해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색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파워셋(Powerset)은 최근 1600만달러에 달하는 벤처캐피털 자금을 받았다.
역시 자연스런 영어문장을 가지고 검색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개발중인 하키아(hakia)도 벤처캐피털로부터 1600만달러를 지원받았으며 검색기능과 더불어 새로운 광고모델을 도입하려는 스냅(Snap)역시 1600만달러를 수혈받았다.
온라인 도서관처럼 이용자들의 질문에 대해 심도 높은 검색결과를 유료로 제공하고 있는 차차(Cha Cha)는 최근 610만달러를 확보했으며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업체인 위키피디아 역시 검색엔진인 위키아(Wikia)를 출시해 온라인 검색엔진 시장에 뛰어들었다.
세계 최대 온라인 소매업체인 아마존은 자체 검색엔진을 개발하고 있으며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제프 베조스는 위키아에도 투자한 상황이다. 이처럼 검색엔진들이 늘어나고 이들 업체에 대한 투자가 꾸준히 이뤄지는 이유는 제2 구글을 발견할 경우 짭짤한 수입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전미벤처캐피털협회는 2004년 이후 벤처투자가들이 `제2 구글`이 되겠다는 포부를 갖고 서비스를 개시한 79개 검색엔진에 3억5000만달러를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파워셋에 투자한 파운데이션캐피털측 관계자는 "2000년만 해도 구글에 투자하면 미친 짓이라고 하지 않았나"라며 새로운 검색엔진의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제2 구글이 되기 위해 경쟁하는 검색엔진들은 모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구글과 정면대결을 하기보다는 비디오나 블로그 포스팅, 의료 정보검색 등 틈새시장을 노리는 사례가 많다고 NYT는 설명했다. 스냅에 1000만달러를 투자한 메이필드펀드의 파트너인 앨런 모건은 "검색엔진 시장에서 1등이 되지 않아도 기업가치가 수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라고 지적하고 "(이 시장에는) 얼마든지 파고들 틈새가 많다"고 말했다.
NYT는 구글이 처음 론칭됐을 때 알타 비스타와 라이코스 등이 온라인 검색엔진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알타 비스타와 라이코스는 그러나 비즈니스 확장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기술 혁신 등을 등한시해 구글에 밀렸다. 현재 시장점유율 1위인 구글 역시 현재 워드 프로세서와 온라인 결제시스템 등 다양한 사업에 나서는 등 몸집불리기에 나선 상황이다.
때문에 새롭게 시장에 뛰어든 검색엔진들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토대로 틈새시장을 공략할 경우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 IT기업 벤처캐피털리스트인 랜디 코시마르는 "새로운 검색엔진들이 구글의 시장점유율을 뺏겠다는 발상을 갖는 것은 무모한 것"이라고 말하고 "그러나 구글이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뒀다고 해서 게임이 끝났다고 생각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경우 유투브가 구글에 인수된 것처럼 구글이나 다른 대형 검색엔진에 인수될 가능성도 있다. 파워셋 공동 창립자인 스티브 뉴콤은 "자연스런 영어문장을 이용한 검색서비스를 우리가 제일 먼저 선보인다면 제2의 구글이 될 자신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검색엔진들이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나고 있는 만큼 문제도 크다고 NYT는 설명했다. 구글을 따라잡는 일이 그만큼 쉽지는 않다는 얘기다. 시장조사기관인 닐슨 넷레이팅스는 최근 몇 년 동안 생겨난 수많은 검색엔진들의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11월 현재 1%에 그쳤다고 지적했다.